8건의 항목
⏺ 🔄 배포 방식 비교 현재 방식 (볼륨 하이브리드) ✅ 장점 즉시 사용 가능 - 추가 인프라 불필요 개발자 독립성 - 각자 Mac에서 완결 비용 제로 - 서버/VM 추가 불필요 네트워크 의존성 없음 - 완전 오프라인 가능 ❌ 단점 크로스 플랫폼 빌드 복잡성 - Docker buildx, 플랫폼 차이 빌드 시간 - Mac에서 Linux 타겟 빌드는 느림 이미지 크기 - 2.7GB는 여전히 큼 개발자별 환경 차이 - Mac 버전, Docker 설정 등 Linux 빌드 서버 방식 ✅ 장점 네이티브 빌드 - Linux에서 Linux용 ...
이전 글에서 Git 방식을 선택했던 SCSS 모듈화 프로젝트가 다시 Verdaccio 서버 방식으로 돌아온 이유와 Docker 기반 Verdaccio 구축 과정을 상세히 공유합니다.
사내 SCSS 모듈화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고민했던 다양한 배포 방식들(Verdaccio, 웹 개시 방식, Git 방식)을 비교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AWS CodeCommit을 활용한 Git 방식을 선택한 이유와 구현 방법을 공유합니다.
복잡한 JWT Access Token 관리, 이제 그만\! 프론트엔드에서 메모리 기반 싱글톤 관리, 401 에러 시 자동 재발급 및 요청 재시도 로직을 TypeScript로 구현한 방법을 공유합니다. 직접 개발한 JWT 디버깅 크롬 익스텐션 'JWT Badge'로 개발 효율도 높여보세요.
NestJS 환경에서 JWT, Passport, Strategy 패턴을 사용하여 인증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 블로그입니다. 장점, 구현 방식, 더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NestJS, NextJS 등 다양한 기술 스택 사용 시 발생하는 버전 충돌 문제를 mise를 통해 해결하고, 설치 및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Tiptap 공동편집 에디터의 Redis 장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개선 사항과 대응 전략을 정리한 기술 포스트입니다.
Tiptap 에디터 최근 공동 편집 기능이 들어간 에디터를 만들고 있습니다. (25.03.24 ~) 언제까지 유효할진 모르겠지만, 공동편집 체험하기에 가볍게 띄워놨습니다.